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cker m2
- mongo 4.4
- 개발자 회고록
- 인텔리제이 github 로그인
- mysql like
- github accesstoken
- mongo 4.4.18
- OSI 7계층
- index in
- 개발자 면접 팁
- 개발자 취업 준비
- git
- kubernetes
- 팩토리 패턴 예제
- aws m2
- mysql index 속도차이
- 팩토리 패턴 언제
- token 탈취
- 밸런스 게임
- 신입 면접 팁
- 회고록
- 개발자 전직
- 쿠버네티스
- 퇴사
- nestjs
- index like
- 신입 개발자 면접
- ECS
- 라즈베리바이4 mongo
- VU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ccess Denied (1)
주니어 개발자 1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nMXU/btskTGfLBHR/5BU3Spt5kWeIgWtxbj4Sa0/img.png)
s3 url을 통해 접근을 못하게 함으로써 리소스비용, 위험부담을 줄이고 cloudfront를 통해서만 content가 보이게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해요. 보안적인 면과 비용 문제를 잘 파악한 뒤에 구성하시면 좋겠어요. 주 순서는 아래와 같아요. S3 생성 ACL 비활성화 퍼블릭 액세스 차단 CloudFront 생성 원본 액세스에 대해 "원본 액세스 제어 설정" 으로 설정 Origin access control 생성 S3 정책 업데이트 버킷 정책을 JSON으로 업데이트 주 오류 사항 cloudfront로 접근 시 access denied 오류가 발생하는 사유는 아래와 같아요. CloudFront에서 "원본 액세스 제어 설정" 설정 누락 S3 정책 업데이트 누락 ( CloudFront의 권한이 없음 ) ..
Server 관련
2023. 6. 21. 21:23